컴퓨터공학
패킷이란
찬란한
2022. 4. 26. 06:46
패킷의 정의
패킷,packet은 pack과 bucket을 합친 말이다.
아무튼 어원을 봤을 때 우체국의 소포에서 착안하여 발생한 단어이다.
거대한 데이터를 보내면 데이터가 네트워크 상에서 대역폭을 크게 차지하기 때문에 작은 데이터들로 분할하여 전송을 한다.
마치 우체국에서 화물을 적당한 크기로 나누어서 보내는 것과 같다.
패킷의 구조
네트워크 패킷은 헤더, 페이로드, 트레일러로 구성된다.
[헤더]
헤더는 소스 주소, 대상 주소, 프로토콜 및 패킷번호가 포함된다.
* 소스 주소 - 패킷의 출처를 나타낸다.
* 대상 주소 - 수신 IP를 가리킨다.
* 프로토콜 - 이메일, 웹페이지, 비디오 등 전송 중인 패킷 유형을 식별가능하게 한다.
* 패킷번호 - 각 패킷에는 두 개의 식별 번호가 있는데 첫 번째는 정보조각이 분할된 패킷 수를 나타내고, 두 번째는 완전한 정보의 일부로서 개별 패킷의 위치를 나타낸다.
[페이로드]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를 가리키며, 데이터라고도 한다.
네트워크에 따라 크기는 48Byte~4KByte까지 다양하다.
헤더 정보는 목적지에 도달하는 시점에 패킷에서 제거되므로, 페이로도는 소스 및 목적지에서 수신하는 유일한 데이터이다.
[트레일러]
패킷 트레일러의 내용은 각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에는 수신 장치에 패킷 끝까지 도달했음을 알리는 몇 가지 비트와 컴퓨터가 모든 패킷이 완전히 수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CRC(Cycle Redundancy Check)가 포함되어 있다.